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91

비강남권 아파트, 평당 1억원 시대 열다 매일경제에 따르면,토허제 여파 이후 '풍선효과' 여파가 심상치 않습니다. 강남 3구 인근이지만, '비강남' 권에 속하는 성동, 광진, 동작 일대의 집값이 연일 상승세입니다. 고급 아파트의 '바로미터'라 불리는 평당 1억원에 육박하는 단지까지 등장했습니다.5월 30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서울 성동구 성수동의 '서울숲아이파크리버포레1차' 아파트가 평당 1억 원을 돌파하며 거래되었습니다. 이는 비강남권 아파트 중에서도 이례적인 사례로, 부동산 시장에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해당 아파트의 전용 84㎡(약 34평) 매물이 34억 9,000만 원에 거래되며 평당 1억 원을 돌파했습니다. 해당 단지는 이미 소형 평수에서 평당 1억원을 찍은 바 있습니다. 올해 3월 전용 59㎡(약 25평)가 .. 2025. 5. 31.
경매 수익률 계산법 – 낙찰가, 취득세, 명도비용까지 실전 공식 경매 투자는 일반 부동산 매매보다 저렴한 가격에 부동산을 취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단순히 싸게 낙찰받았다고 해서 무조건 성공적인 투자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중요한 것은 실제로 얼마를 벌 수 있는지, 즉 '수익률'입니다.특히 초보자들은 단순한 시세차익만 계산하다가 실제로는 손해를 보기도 합니다. 왜냐하면 낙찰가 외에도 취득세, 명도비용, 대출이자, 수리비 등 다양한 비용이 추가되기 때문입니다. 오늘은 이런 요소들을 모두 반영해 실전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는 경매 수익률 계산법을 알려드릴게요.기본 수익률 계산 공식 이해하기경매에서 수익률을 계산하는 가장 기본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수익률(%) = (매각금액 - 총 투자금액) / 총 투자금액 × 100이 공식에서 핵심은 ‘총 투자금액’을 .. 2025. 5. 31.
7월부터 DSR 3단계 전국 확대...수도권 주담대 한도 최대 5%축소 경기일보에 따르면,오는 7월 1일부터 수도권에서 금융권 주택담보대출 한도가 3∼5% 축소됩니다. 이에 따라 연봉 1억원을 받는 차주는 은행에서 대출받을 수 있는 한도가 경우에 따라 3천300만원 가량 줄어듭니다.20일 금융위원회는 기획재정부, 국토교통부, 한국은행, 금융감독원 등 관계기관과 5대 시중은행이 참석한 가계부채 점검회의를 진행하고, 이같은 내용의 '3단계 스트레스 DSR 시행 방안'을 발표했습니다.은행권과 2금융권의 주택담보대출, 신용대출, 기타대출 금리에 스트레스 금리 100%인 1.5%가 적용됩니다.수도권의 경우 가산금리가 1.2%에서 1.5%로 올라 주담대 대출 한도가 더 줄어들게 되며, 혼합형·주기형 주택담보대출에 스트레스 금리 적용 비율이 상향조정돼 대출 한도가 줄어듭니다.금융당국의 .. 2025. 5. 30.
서울 아파트값 16주 연속 상승...강남3구 상승폭 확대 매일경제 뉴스 기사에 따르면,2025년 5월 셋째 주(5월 19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이 전주 대비 0.13% 상승하며 16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습니다. 이는 전주(0.10%)보다 상승폭이 확대된 수치로, 전국 평균이 보합세(0.00%)를 유지한 것과 대비되는 결과입니다.특히 강남 3구의 상승폭이 두드러졌습니다. 서초구는 반포·잠원동 위주로 0.32% 상승했고, 송파구는 잠실·신천동 재건축 추진 단지 위주로 0.30% 상승했습니다. 강남구는 압구정·대치동 위주로 0.26% 상승하며 상승세를 견인했습니다.부동산 전문가들은 재건축 추진 단지에 대한 기대감과 고가 아파트에 대한 선호도가 상승세를 주도하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또한, 일부 지역에서는 매수 관망세가 지속되고 있으나, 주요 선호 단지에서.. 2025. 5. 22.
서울 강남구 아파트 평균 매매가, 사상 첫 40억 원 돌파 2025년 4월, 서울 강남구의 아파트 평균 매매 가격이 사상 처음으로 40억 원을 넘어섰습니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4월 기준 강남구 아파트의 평균 매매 가격은 43억 6,371만 원으로 집계됐으며, 이는 서울 전체 25개 자치구 가운데 가장 높은 수치입니다. 이번 수치는 서울에서 단일 구 단위로 월간 평균 매매가가 40억 원을 초과한 최초의 사례입니다.강남 아파트 가격 급등은 재건축 기대감, 공급 부족, 고급 아파트 위주의 거래 증가 등 복합적 요인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특히 압구정동, 도곡동, 삼성동 등 강남 핵심지역에서 초고가 거래가 늘어나며 전체 평균 가격을 끌어올렸습니다.강남 아파트 가격 상승의 원인재건축 추진 단지에 대한 기대감이 매우 높습니다. 강남구에는 압구정, 개포, 대.. 2025. 5. 21.
서울 아파트 분양, 정비사업 의존도 심화로 공급난 가중 조선일보 2025년 05월 20일 기사에 따르면,2025년 현재 서울 아파트 분양시장은 정비사업에 대한 의존도가 심화되며 공급 불균형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2024년 서울에서 분양된 단지 38곳 중 29곳이 재건축이나 재개발 등 정비사업을 통해 공급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이는 전체 분양단지 수의 76.3%, 가구 수 기준으로는 85.5%에 달하는 수치로, 사실상 서울의 신규 아파트 공급이 정비사업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다는 평가를 낳고 있습니다. 특히 올해 1~4월 사이 일반분양은 단 두 곳에 불과하며, 서울 아파트 신규 공급이 매우 위축된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왜 정비사업에 의존하게 되었나? 서울은 이미 주거지로 개발이 완료된 지역이 많아 신규 택지 확보가 어렵습.. 2025. 5. 20.